광주학생독립운동의 개요
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 일어나 전국적으로 확산되였던 ‘광주학생독립운동’ 은 일본제국주의의 지배에 저항하여 일어났던 대표적인 민족운동 가운데 하나였으며, 그 규모나 영향 그리고 역사적 의의에서 3·1운동과 나란히 하는 사건이였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은 단순히 광주와 나주를 통학하던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의 충돌 때문에 우발적으로 일어난 것이 아니라, 3·1운동 이후에 나타난 기만적인 문화정책과 1920년대 이후 노동자.농민.학생운동의 성장, 1929년부터 시작된 세계대공황 등 국내외의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1929년 11월3일은 일본 명치천황의 탄생기념일인 명치절이었으나, 우리에게는 음력 10월3일 국조 단군이 개국하신 날이었다. 개천절에 신사참배를 강요 당했던 광주고보생들은 명치절 행사에서 일본 국가의 제창에 묵비권을 행사하는 등 비통한 심경에 가해졌던 일본 학생들의 무례한 도전이 광주학생독립운동의 도화선이 되었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은 광주에서의 항일시위에서 시작되었으나 광주 지역에 그치지 않고 서울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시위나 동맹휴학으로 계속되어 전국적으로 194개 학교가 참가하였고 참가 학생 수는 54,000여명으로 당시 전체 학생의 절반이상이 나라와 민족의 독립을 위해 일어섰으며 희생당한 학생 수는 퇴학 582명, 무기 정학 2,330명, 검거 당한 사람이 1,462명이나 되는 엄청난 숫자였다. 또한 광주학생독립운동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까지 파급되어 만주의 간도와 길림성, 중국의 상해, 북경 그리고 일본에서도 격려 집회와 만세 시위가 그치지 않았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은 학생들이 항일운동의 중심을 이루었으나 신간회, 근우회, 조선청년동맹 등 당시의 주요 사회단체와 성진회, 독서회 중앙본부, 조선학생전위동맹 등 비밀결사의 지원도 적지 않았고 더구나 일제의 강력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그 정신은 끊임없이 이어져 1943년 5월 광주서공립중학교의 제2차 학생독립운동이 발발 하였다.
이렇듯 정의감과 애국심이 강렬했던 학생들은 일제의 식민통치하에서 분연히 떨쳐 일어나 국가와 민족의 독립을 쟁취하려 했고 민족적 차별을 철폐하기 위해 학생독립운동을 전개하여 자랑스런 선배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었던 것이었다.